조선시대 음식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통 녹말죽, 오늘날 환자식의 뿌리를 찾아서 쌀이 귀하던 시절, 혹은 병환으로 밥조차 삼키기 힘들던 때 우리 선조들은 무엇으로 허기를 달래고 기운을 회복했을까요? 바로 산과 들에서 얻은 칡, 도토리, 녹두 등에서 추출한 녹말로 쑤어낸 ‘녹말죽’입니다. 녹말죽은 단순한 끼니가 아니라, 몸을 다스리는 약선 음식이자 흉년을 이겨내는 구황식품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오늘은 다소 생소하지만 우리 전통 식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린 녹말죽의 역사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녹말죽이란 무엇인가? 녹말죽은 쌀알을 그대로 끓여내는 일반 죽과 다르게 식물의 뿌리, 열매, 씨앗에서 추출한 녹말가루를 물에 풀어 쑤어낸 죽입니다. 녹말 입자가 매우 곱기 때문에 쌀죽보다 질감이 한결 더 매끄러우며, 목 넘김이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덕분에 어린아이, 노인.. 수란, 기름 없이 계란을 익혀 먹은 선조들의 지혜 계란은 한국인의 밥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재료이지만 그중에서도 수란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 음식입니다. 오늘날에도 콩나물국밥 위에 얹거나 환자식으로 애용되는 수란은 단순한 계란 요리를 넘어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조리법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란의 기원과 역사, 현대 계란 요리와의 차이, 조리 방식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1. 수란이란 무엇인가?수란은 한자 뜻 그대로 '물에서 익힌 달걀'을 의미합니다. 끓는 물에 식초나 소금을 약간 넣고 달걀을 깨뜨려 넣어 흰자가 노른자를 부드럽게 감싸며 익도록 만든 음식입니다. 기름을 사용하지 않아 맛이 매우 담백하고 깔끔하며 소화가 잘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장 잘 만든 수란은 흰자가 몽글몽글하게 노른자를 감싸고 노른자는 터뜨렸을 때 따뜻한 액체 상태로 흘.. 유밀과, 꿀과 참기름으로 만들었던 우리 과자 명절이나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달콤하고 꾸덕꾸덕한 간식인 '약과'. 우리는 약과에 너무나 익숙하지만, 그 약과의 원형인 '유밀과'가 지금의 맛과 완전히 달랐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조선시대 문헌 속에 기록된 유밀과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더 깊고 진한 풍미를 가진 '과자'의 차원을 넘어선 요리였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최초의 요리책 『산가요록』의 기록을 바탕으로 진짜 꿀과 참기름으로 만들었던 유밀과의 원형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그리고 그 맛은 왜 우리 곁에서 사라졌는지 그 비밀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1. 유밀과란 무엇인가?유밀과는 한자 뜻 그대로 '기름'과 '꿀'로 만든 '과자'를 의미하는 우리나라 전통 한과의 한 종류입니다. 밀가루를 반죽하여 모양을 낸 뒤, 기름에 튀겨 꿀이나 조청에 담가.. 여름 더위를 식히던 조선의 보양 음료, 제호탕 이야기 푹푹 찌는 한여름에 갈증과 더위로 지칠 때면 우리는 시원한 아이스커피나 탄산음료를 찾습니다. 그렇다면 냉장고와 에어컨이 없었던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무엇으로 무더위를 이겨냈을까요? 그 해답은 바로 제호탕에 있습니다. 제호탕은 단순히 목을 축이는 음료가 아니라 임금이 직접 신하들의 건강을 염려하여 내리던 귀한 여름 보약이었습니다. 오늘은 생소한 이름을 가진 조선의 여름 음료인 제호탕에 대해 알아보고 이 음료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1. 제호탕은 어떤 음료일까? 제호탕은 더위를 식히고 몸의 기운을 북돋우며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마시던 궁중의 전통 약용 음료로 오매육(껍질을 벗겨 연기에 그을린 매실 살), 사인(향신료의 일종), 백단향, 초과(생강과 식물의 열매) 그리고 꿀을 가지고 만든.. 전약, 달콤한 약이 된 궁중 간식 추위가 매섭게 몰아치던 조선의 겨울철, 궁중에서는 단순한 음식이 아닌 특별한 ‘약과’를 만들어 왕과 신하의 건강을 챙겼습니다. 오늘은 문헌 속에서 볼 수 있는 궁중 절식 음식, 전약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전약이란 어떤 음식인가?전약은 글자 그대로 ‘달여 만든 약’이라는 뜻을 지닌 궁중 음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약과’라 하면 기름에 튀겨낸 간식을 떠올리지만, 전약은 약과와 조금 다릅니다. 꿀과 찹쌀가루, 참기름에 여러 가지 한약재를 넣고 오랜 시간 약불에서 달여 굳히는 방식이었습니다. 특히, 소가죽을 고아 만든 아교를 넣어 굳히는 독특한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아교는 재료를 단단하게 만들 뿐 아니라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력을 보하는 귀한 약재로도 쓰였습니다. 그래서 전약은 단순한 군것질거리가 아니라 .. 왜 전복을 두드려 탕을 끓였을까? 궁중 최고 보양식, 추복탕 오늘은 조선시대 궁중 보양식 '추복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왕의 건강을 지키고 기력을 보충하기 위해 당대 최고의 재료와 기술을 집약시킨 특별한 보양식들을 만들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이름 자체에 특별한 조리 비법이 숨겨져 있는 음식이 바로 추복탕입니다. 이 음식은 어떤 음식이고, 왜 지금은 우리가 보기 힘든 음식이 되었는지 한 번 따라가보겠습니다.1. 추복탕은 어떤 음식인가?추복탕의 이름을 한자로 풀이하면 이 음식의 정체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추(搥)’는 두드린다는 뜻이고, ‘복(卜)’은 전복을 의미하며, ‘탕(湯)’은 국물 요리를 가리킵니다. 즉, 추복탕은 ‘전복을 두드려 끓인 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음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생전복이 아니라 건복(말린 전복)을 사용.. 고기 대신 생선으로 만든 궁중 만두, 어만두 오늘은 조선시대 궁중의 특별한 음식 중 하나인 ‘어만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어만두는 이름 그대로 ‘생선 만두’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생선 살을 이용해 빚은 독특한 만두 요리입니다. 단순한 만두라기보다 궁중의 섬세한 조리법과 음식 철학이 담겨 있는 음식으로 평가됩니다. 기록에 따르면 어만두는 왕실 연향이나 중요한 의례의 상차림에 오르던 음식으로 단백하면서도 귀한 재료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높은 위상을 지닌 궁중 음식이었습니다. 1. 왜 고기 대신 생선으로 만들었을까?‘어만두'라는 이름은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물고기 만두’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고기를 넣어 빚은 만두와 다르게 어만두는 생선 살을 곱게 다져 소로 사용하고 밀가루나 녹말 반죽으로 얇게 감싸 빚어낸 음식입니다. .. 조선시대 궁중 음식 세면, 장수와 혼례를 상징한 국수 오늘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녔던 음식인 '세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세면은 이름 그대로 아주 가늘게 뽑아낸 국수로, 평범한 음식이 아니라 왕실의 혼례나 장수연 같은 의례에서만 쓰였던 귀한 음식입니다. 특히 『진연의궤』를 살펴보면 왕실 혼례 때 올려졌던 미수연(88세 장수연) 상차림에 세면이 쓰였다고 전해집니다. 단순히 가늘게 뽑은 국수가 아니라, 장수와 기쁨을 상징하며 정성과 기술이 함께 담긴 조선시대 궁중 음식의 정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1. 세면은 어떤 음식인가?세면(細麵)은 한자 그대로 ‘가는 국수’를 의미합니다. 오늘날에도 국수의 굵기는 조리법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세면’은 단순히 얇은 면발을 뜻하는 것을 넘어 섬세한 손맛과 정성을 상징하는 음식이었습니다. 가늘게 뽑을수록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