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한 전통 음식

승검초차, 옛 조상들이 사랑한 당귀차의 비밀

반응형

옛 조상들은 꽃과 풀, 나무의 잎과 뿌리까지 자연의 산물을 삶 속에서 두루 활용하며 지혜로운 생활을 이어왔습니다. 그래서 식사나 향유를 위한 재료로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몸을 다스리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데 마셨던 수많은 약용 차가 존재했습니다.

 

오늘은 그중 하나인 '승검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승검초의 효능과 활용부터 전통차로서 승검초차

 

1. 승검초차란 무엇인가?


승검초차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차 가운데 하나로 '승검초'라는 이름의 뿌리를 달여 마신 차입니다. 승검초라는 이름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우리가 오늘날 '당귀'라고 부르는 약재의 옛 이름입니다.

'승검초'라는 이름은 잎의 모양이 마치 스님이 쓰는 칼(승검)과 닮았다 하여 붙여졌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승검초라는 순우리말 이름은 점차 사라지고 지금은 대부분 '당귀'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승검초차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곧 당귀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승검초차는 전통 한약재로서의 깊은 효능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약용 차로 활용되었습니다.


2. 동의보감으로 살펴본 승검초


승검초, 즉 당귀의 효능은 조선의 대표 의학서인 『동의보감』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당귀가 혈액을 보충하고(보혈),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며(활혈),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온갖 혈병을 치료하며, 피를 보충하고(보혈), 기존의 나쁜 피를 몰아내고 새로운 피를 생기게 한다. 또한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 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새살을 잘 돋게 한다."

특히 여성의 건강과 관련된 효능이 두드러집니다. 조선 시대 여성들은 잦은 출산과 영양 부족으로 인해 빈혈, 생리통, 산후 회복 문제에 시달렸는데 당귀는 이를 완화하고 기운을 북돋는 데 중요한 약재로 쓰였습니다. 그만큼 승검초차는 여성에게 추천되는 보양식이었습니다.


3. 승검초차의 효능


승검초차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 혈액 보충과 순환 촉진: 당귀는 대표적인 보혈제이자 활혈제로써 빈혈이나 혈액 부족으로 인한 어지럼증, 피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여성 건강 개선: 생리통, 생리 불순, 산후 회복 등 여성 질환에 널리 쓰였으며 '여성에게 당귀가 없으면 안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습니다.

 - 진통 및 항염 효과: 통증을 줄이고 염증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어 관절통이나 복통에도 사용되었습니다.

 - 기력 회복: 허약하거나 잦은 병치레로 기운이 떨어진 이들에게 기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승검초차는 위에서 보았듯이 혈액, 부인병, 염증 완화, 기력 회복에 좋은 효능을 보이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서는 하나의 ‘보약’ 같은 존재로 여겨졌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4. 승검초의 전통 음용 방법


옛사람들은 승검초를 깨끗하게 손질해 달여 마셨습니다. 그 향과 맛은 다소 진하고 쌉쌀했지만 은근한 단맛이 뒤에 남아 부담스럽지 않았다고 합니다.

대개 승검초를 단독으로 달여 마시기도 했지만 때로는 황기, 감초, 대추 같은 다른 한약재와 함께 끓여 효능을 높이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쌍화탕이나 다양한 한방차의 기본 구조에도 당귀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보면 당시에 승검초차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5. 현대에서의 승검초차


오늘날에도 승검초차는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 있습니다. 전통찻집 메뉴에서 만나볼 수 있고 약재상에서는 건조된 당귀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인들의 바쁜 생활에 맞추어 티백 제품, 건강 보조 식품, 액상차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현대에는 '승검초'라는 이름보다는 '당귀'라는 이름이 훨씬 익숙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승검초라는 옛 이름은 잘 알지 못하지만 '당귀차', '당귀즙', '당귀를 활용한 건강보조제' 같은 표현에는 친숙합니다. 실제로 당귀는 쌍화탕과 같은 전통 한방 음료의 핵심 재료일 뿐 아니라 피로 회복용 드링크제, 한방차 티백, 여성 건강을 위한 영양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음식에도 활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당귀를 곁들인 삼계탕이나 한방 보쌈, 건강죽 등은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재해석된 메뉴입니다. 더 나아가 피부를 맑게 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효과가 알려지면서 화장품과 스킨케어 제품에도 당귀 추출물이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승검초라는 옛 이름은 현대인들에게 잊혔지만, 당귀라는 이름으로 더 넓고 다양한 방식으로 현대인의 삶에 스며들고 있습니다.

 

승검초차, 옛 조상들이 사랑한 당귀차의 비밀


마무리

 

승검초차는 단순히 전통차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당귀차’라는 이름으로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건강차입니다. 『동의보감』에서 강조되었던 보혈과 혈액순환의 효능은 현대의 의학적 분석에서도 뒷받침되고 있으며 다양한 건강 보조제와 음식, 화장품 원료에까지 활용되며 그 쓰임새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승검초'라는 조금은 낯선 이름에서 시작했지만 결국 우리가 '당귀'라는 이름으로 잘 알고 있던 약초의 이야기였습니다. 이처럼 이름은 변하고 시대에 따라 쓰임새는 다양해졌지만,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을 보충하여 건강을 이롭게 하려 했던 그 본질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오늘 저녁에는 향긋한 승검초차 한 잔으로 하루의 피로를 풀고 내 몸을 위한 따뜻한 휴식을 선물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 문헌

 

  • 《동의보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약용작물 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