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한 전통 음식

꽃을 입힌 전병, 조선의 봄을 담은 '화전' 이야기

반응형

봄이 오면 자연은 가장 화려한 빛깔로 물듭니다. 우리 선조들은 그 계절의 아름다움을 단순히 눈으로만 즐기지 않았습니다. 조선 시대 사람들은 들에 핀 꽃을 따다가 찹쌀 반죽 위에 얹어 부쳐 먹는 '화전'이라는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이름 그대로 ‘꽃 화’와 ‘지질 전’자를 써서 꽃을 넣어 지진 전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전통 행사나 문화 체험 행사에서 종종 접할 수 있지만 그 기원과 풍속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전이 아닌 깊은 의미를 가진 음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화전의 정의, 역사 기록, 조리법, 그리고 현대와의 차이를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꽃을 입힌 전병, 조선의 봄을 담은 화전 이야기


1. 화전이란 무엇인가?


화전은 찹쌀가루 반죽을 동글납작하게 빚은 뒤, 그 위에 제철 꽃을 얹어 기름에 지져낸 음식입니다. 보기에는 전병처럼 보이지만 맛은 담백하면서 은은한 꽃 향이 배어 있는 독특한 별미였습니다. 흔히 꽃부꾸미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화전이 사실상 부꾸미의 일종이었기 때문입니다.

전통적으로 화전은 봄을 상징하는 음식이었으며 특히 진달래꽃이 대표적인 재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다만 지역과 계절에 따라 국화, 장미, 배꽃, 유채꽃, 제비꽃 등 여러 가지 꽃을 쓸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봄 삼월 삼짇날(음력 3월 3일)에는 진달래꽃, 여름에는 장미꽃, 가을 중구절(음력 9월 9일)이 되면 국화꽃을 사용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맛이 아니라 계절의 아름다움과 기운을 함께 먹는다는 데 있었습니다.


2. 역사 기록 속 화전


조선 후기의 풍속서 『동국세시기』에는 화전을 삼짇날 음식으로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로 봄꽃이 한창 피는 시기였습니다. 이날 사람들은 들에 나가 꽃놀이를 즐기고 돌아와 따온 꽃으로 화전을 만들어 먹으며 봄을 기념했습니다. 기록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습니다.

"삼월 삼짇날, 서울의 풍속에 사람들이 화류를 즐기러 남산과 북산 기슭에 모인다. … (중략) … 각각 찹쌀가루와 번철(기름에 지지는 데 쓰는 솥뚜껑)을 가지고 가서 시냇가에 자리를 잡고 진달래꽃을 따서 떡을 만들어 먹으니 이를 화전이라 한다."

또한 『규합총서』 같은 생활 지침서에도 화전이 소개되는데, 그곳에서도 삼짇날 부녀자들이 꽃을 따다가 화전을 부쳐 나눠 먹었다는 기록이 보입니다. 즉, 화전은 단순히 계절 음식이 아니라 세시풍속의 한 축을 담당했던 중요한 전통 음식이었던 것입니다.


3. 화전의 조리법과 재료


화전의 기본 재료는 찹쌀가루와 입니다. 찹쌀가루를 반죽할 때는 따뜻한 물을 사용하여 질지 않게 치대야 했고, 반죽을 손바닥 크기 정도로 얇고 둥글게 빚었습니다. 그 위에 꽃잎을 하나씩 얹은 뒤, 기름 두른 번철에 약불로 지져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좋은 꽃을 선택하는 것준비 과정입니다. 진달래를 사용할 때는 독성을 가진 철쭉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했습니다. 또한 꽃잎에 묻은 벌레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금물에 가볍게 담갔다가 헹구기도 했습니다.

맛은 고소한 찹쌀 반죽과 꽃잎의 은은한 향이 어우러져 단아하면서도 특별했습니다. 때로는 꿀이나 조청을 곁들여 달콤하게 즐기기도 했습니다. 현대의 전이나 부침개와 달리 기름이 많지 않고 얇게 지져내는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4. 화전놀이와 세시풍속


화전은 역사 기록에서 보았듯이 집 안에서 조용히 만들어 먹던 음식이 아니었습니다. ‘화전놀이’라는 독특한 풍속과 함께 자리 잡았는데 봄에 경치 좋은 날, 부녀자들은 들에 나가 꽃을 따고 함께 모여 화전을 만들어 먹으며 노래하고 놀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유흥이 아니라 계절의 전환을 기념하고, 가족과 이웃의 안녕을 기원하는 공동체 행사였습니다.

특히 꽃을 먹음으로써 봄의 기운을 받아들인다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었습니다. 계절의 아름다움을 몸속에 담아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식적 성격이 강했던 것입니다.


5. 현대 화전과의 차이


오늘날에도 전통 체험이나 행사에서 화전을 볼 수 있지만, 조선 시대의 화전과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날 화전을 만들 때는 일반 밀가루나 부침가루를 쓰는 경우가 많고 기름에 부치는 방식도 조금 더 전병이나 부침개에 가깝게 만듭니다. 또 진달래 이외에도 식용이 가능한 장미, 팬지, 금잔화 등 다양한 꽃을 활용해 화려하게 꾸미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현대의 화전은 전통의 형식을 응용한 퓨전 음식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전을 만들어 먹는 의미가 과거와는 사뭇 다릅니다. 과거의 화전은 '화전놀이'라는 풍류 문화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한 음식이지만 오늘날의 화전은 공동체 놀이의 맥락보다는 모양이 예쁜 전통 간식으로서 의미가 강합니다. 그리고 옛날에는 계절꽃으로 만든 화전을 먹는 것이 하나의 계절 행사였지만 현대에는 온실 재배 등으로 언제든 다양한 식용 꽃을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이러한 절기의 의미가 많이 희미해졌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화전이 가진 본질, 즉 계절의 꽃을 먹음으로써 자연을 기리고 그 아름다움을 나누는 정신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마무리


화전은 단순한 간식, 디저트가 아닙니다. 계절의 꽃을 얹어 봄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담아낸 특별한 음식이자, 공동체가 함께 모여 즐기던 세시풍속의 일부였습니다. 『동국세시기』와 같은 기록을 통해 그 전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달래와 같은 제철 꽃으로 만든 화전은 봄의 상징적인 별미로 사랑받았습니다.

오늘날의 화전은 조리법이나 재료에서 전통과 차이가 있지만, 꽃을 음식 위에 올려 계절을 즐긴다는 발상은 여전히 매력적입니다. 봄이 오면 꼭 한 번 만들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찹쌀 반죽 위에 얹힌 꽃잎 한 송이에는 단순한 맛을 넘어, 자연과 계절, 그리고 조상들의 지혜를 몸소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 참고 문헌

 

  • 《동국세시기》
  • 《규합총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