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음식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밀전병, 담백함과 달콤함을 넘나든 조선의 과자 전병은 얇게 부쳐 만든 과자를 의미합니다. 오늘날에는 다소 생소한 이름처럼 들리지만 조선 시대에는 다양한 음식에 활용되었던 중요한 조리법 중 하나였습니다. 그중에서도 밀전병은 밀가루 반죽을 얇게 부쳐 만든 음식으로 때로는 담백한 쌈으로 쓰이고 때로는 꿀을 발라 달콤한 후식으로 즐겼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규합총서』 등 고문헌 속 기록을 바탕으로 밀전병의 모습과 조리법 그리고 현대 음식과의 연결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밀전병이란 무엇인가?밀전병은 이름 그대로 밀가루 반죽을 얇게 부쳐낸 음식입니다. 소금만 넣어 담백하게 만들기도 하고 꿀을 넣어 달콤한 맛을 내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밀전병은 두 가지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 식사용 밀전병: 소금으로 간을 해서 얇고 담백하게 만들었습니다. 주로 구절판을 싸 먹.. 난면, 물 없이 달걀로만 반죽한 국수 오늘은 조선시대 양반가에서 귀한 손님을 대접하거나 특별한 날에만 맛볼 수 있었던 최고급 국수인 '난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보통 국수를 만들 때 물을 당연히 들어간다고 생각하지만 '난면'은 물을 넣지 않고 오직 달걀로만 만든 독특한 전통음식이었습니다. 과연 옛 조상들은 왜 물을 쓰지 않고 달걀로만 국수를 만들었으며, 오늘날 이 음식이 거의 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요?1. 난면, 이름에 모든 것이 담기다난면은 그 이름에서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자를 보면 '알 란(卵)'에 '국수 면(麵)' 자를 합쳐 말 그대로 '달걀 국수'라는 뜻입니다. 밀가루에 물 대신 달걀을 넣어 반죽하고, 이를 얇게 밀어 국수 가락을 만드는 것이 특징인 음식입니다.오늘날에는 밀가루나 달걀이 흔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사정이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