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자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밀전병, 담백함과 달콤함을 넘나든 조선의 과자 전병은 얇게 부쳐 만든 과자를 의미합니다. 오늘날에는 다소 생소한 이름처럼 들리지만 조선 시대에는 다양한 음식에 활용되었던 중요한 조리법 중 하나였습니다. 그중에서도 밀전병은 밀가루 반죽을 얇게 부쳐 만든 음식으로 때로는 담백한 쌈으로 쓰이고 때로는 꿀을 발라 달콤한 후식으로 즐겼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규합총서』 등 고문헌 속 기록을 바탕으로 밀전병의 모습과 조리법 그리고 현대 음식과의 연결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밀전병이란 무엇인가?밀전병은 이름 그대로 밀가루 반죽을 얇게 부쳐낸 음식입니다. 소금만 넣어 담백하게 만들기도 하고 꿀을 넣어 달콤한 맛을 내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밀전병은 두 가지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 식사용 밀전병: 소금으로 간을 해서 얇고 담백하게 만들었습니다. 주로 구절판을 싸 먹.. 유밀과, 꿀과 참기름으로 만들었던 우리 과자 명절이나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달콤하고 꾸덕꾸덕한 간식인 '약과'. 우리는 약과에 너무나 익숙하지만, 그 약과의 원형인 '유밀과'가 지금의 맛과 완전히 달랐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조선시대 문헌 속에 기록된 유밀과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더 깊고 진한 풍미를 가진 '과자'의 차원을 넘어선 요리였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최초의 요리책 『산가요록』의 기록을 바탕으로 진짜 꿀과 참기름으로 만들었던 유밀과의 원형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그리고 그 맛은 왜 우리 곁에서 사라졌는지 그 비밀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1. 유밀과란 무엇인가?유밀과는 한자 뜻 그대로 '기름'과 '꿀'로 만든 '과자'를 의미하는 우리나라 전통 한과의 한 종류입니다. 밀가루를 반죽하여 모양을 낸 뒤, 기름에 튀겨 꿀이나 조청에 담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