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통국수

(2)
조선시대 궁중 음식 세면, 장수와 혼례를 상징한 국수 오늘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녔던 음식인 '세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세면은 이름 그대로 아주 가늘게 뽑아낸 국수로, 평범한 음식이 아니라 왕실의 혼례나 장수연 같은 의례에서만 쓰였던 귀한 음식입니다. 특히 『진연의궤』를 살펴보면 왕실 혼례 때 올려졌던 미수연(88세 장수연) 상차림에 세면이 쓰였다고 전해집니다. 단순히 가늘게 뽑은 국수가 아니라, 장수와 기쁨을 상징하며 정성과 기술이 함께 담긴 조선시대 궁중 음식의 정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1. 세면은 어떤 음식인가?세면(細麵)은 한자 그대로 ‘가는 국수’를 의미합니다. 오늘날에도 국수의 굵기는 조리법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세면’은 단순히 얇은 면발을 뜻하는 것을 넘어 섬세한 손맛과 정성을 상징하는 음식이었습니다. 가늘게 뽑을수록 ..
난면, 물 없이 달걀로만 반죽한 국수 오늘은 조선시대 양반가에서 귀한 손님을 대접하거나 특별한 날에만 맛볼 수 있었던 최고급 국수인 '난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보통 국수를 만들 때 물을 당연히 들어간다고 생각하지만 '난면'은 물을 넣지 않고 오직 달걀로만 만든 독특한 전통음식이었습니다. 과연 옛 조상들은 왜 물을 쓰지 않고 달걀로만 국수를 만들었으며, 오늘날 이 음식이 거의 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요?1. 난면, 이름에 모든 것이 담기다난면은 그 이름에서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자를 보면 '알 란(卵)'에 '국수 면(麵)' 자를 합쳐 말 그대로 '달걀 국수'라는 뜻입니다. 밀가루에 물 대신 달걀을 넣어 반죽하고, 이를 얇게 밀어 국수 가락을 만드는 것이 특징인 음식입니다.오늘날에는 밀가루나 달걀이 흔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사정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