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약선

(2)
[사라진 떡 이야기] 석이편: 귀한 약선 떡에 담긴 조선의 지혜 조선 시대 양반가에서 귀하게 여겨지던 전통 떡 가운데 하나가 바로 '석이편'입니다. '규합총서'에 기록된 석이편은 바위에서 자라는 귀한 버섯인 석이버섯을 갈아 넣어 만든 편(시루떡)으로 약선의 성격을 지닌 건강식 떡이었습니다. 오늘날 거의 사라져 찾아보기 힘든 이 전통 떡은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음식 철학이 고스란히 담긴 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석이편이란 무엇인가? 석이편은 이름 그대로 ‘석이’를 넣어 만든 ‘편(떡)’을 뜻합니다. 여기서 석이버섯은 일반적인 버섯과 달리 깊은 산속 바위에 귀 모양처럼 붙어 자라는 귀한 재료입니다. 채취가 어렵고 양도 많지 않아 예로부터 귀족이나 양반가에서나 맛볼 수 있던 특별한 식재료였습니다.석이버섯은 미지근한 물에 오랫동안 불려야 부드러워지고 돌이나 모래 같은..
전통 녹말죽, 오늘날 환자식의 뿌리를 찾아서 쌀이 귀하던 시절, 혹은 병환으로 밥조차 삼키기 힘들던 때 우리 선조들은 무엇으로 허기를 달래고 기운을 회복했을까요? 바로 산과 들에서 얻은 칡, 도토리, 녹두 등에서 추출한 녹말로 쑤어낸 ‘녹말죽’입니다. 녹말죽은 단순한 끼니가 아니라, 몸을 다스리는 약선 음식이자 흉년을 이겨내는 구황식품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오늘은 다소 생소하지만 우리 전통 식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린 녹말죽의 역사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녹말죽이란 무엇인가? 녹말죽은 쌀알을 그대로 끓여내는 일반 죽과 다르게 식물의 뿌리, 열매, 씨앗에서 추출한 녹말가루를 물에 풀어 쑤어낸 죽입니다. 녹말 입자가 매우 곱기 때문에 쌀죽보다 질감이 한결 더 매끄러우며, 목 넘김이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덕분에 어린아이, 노인..

반응형